혜성

2020. 12. 9. 12:24우주의 신비

반응형

혜성

혜성은 태양계 형성 때 차가운 지역을 둘러싼 기체와

먼지 입자들로 이루어진 원반으로 이때 행성들이 만들어 지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행성으로 성장하지 못한 혜성의 핵은 내부에 밀도가 큰 핵이 있으며,

그 직경은 일반적으로 1~10km 정도지만 60km의 직경을 가진 혜성도 관측된 바 있습니다.

 

구성물질은 대부분 H₂O얼음이며 잡다한 얼어붙은 가스와 먼지, 암석으로 이루어진

초 거대 눈덩이라고 보면 됩니다.

 

혜성 (츨처:구글)

혜성은 어쩌다가 보이는게 아니라 지구처럼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입니다.

혜성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발견된 자 혹은 혜성의 궤도를 계산한 자의 이름을 따 불리웁니다.

 

우리가 익히들어 알고 있는 가장 친숙한 혜성이 핼리혜성입니다.

 

1707년 영국의 천문학가 Edmund Halley는 1531년, 1607년, 1682년에 나타난

큰 혜성이 같은 것으로 보고 76년을 주기로 관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그 다음은 1758년에 다시 관측할 수 있다고 예측했는데요.

 

그 뒤 핼리가 죽은 후 정확히 1758년에 관측이 됐으며,

이때부터 이 혜성은 궤도를 계산한 핼리의 이름을 따 핼리혜성으로 불러지게 됐습니다.

 

현재 알려진 혜성의 수는 3,695개 입니다.


혜성의 구조 (출처:구글)

혜성은 핵을 둘러싸고 있는 코마가 있습니다.

혜성 역시 공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에 가까워지면,

일부 핵의 얼음이 먼지와 함께 가열되면서 가지고 있던 가스와 수증기가 분출되며 핵 주위에 구름을 형성해 줍니다.

마치 대기권 처럼요.

 

코마의 주성분인 H₂O가 태양의 영향을 받아 수소입자 발생 돼 코마주위를 감싸게 되고

태양의 복사앞으로 인해 코마안의 먼지들이 혜성 진행 궤도의 반대편으로 뿌려지게 되는데요

이 꼬리의 길이가 수백에서 수천km에 이릅니다.

어떤 혜성은 1억 5천km가 되는 혜성도 있었다고 합니다.

혜성은 꼬리를 빼놓으면 소없는 찐빵이죠.

 

혜성의 꼬리 (출처:구글)

위 사진은 Gerald rhemann이 촬영한 2020년 7월 12일 혜성입니다.

 

혜성의 꼬리는 좀 전에 언급한 먼지 꼬리말고 이온꼬리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온꼬리는 태양풍과 태양 자기장에 영향을 받아 생기며,

태양에 가까워 질 수록 더 길게 생깁니다.

 

혜성의 궤도 반대편으로 생기는 흰색 꼬리가 먼지 꼬리이며,

길게 쭉 뻗은 파란 꼬리가 이온 꼬리입니다.

 

어릴 때 별똥별을 보며 소원을 빌던 때도 있었는데...

 

혜성이 돌아올 때 나도 돌아올께~ 하던 

홍콩영화가 생각 나네요

성운이였던가

 

아주 오래전에는 대기에서만 관측되는 불길한 징조로 생각했는데

우리 지구와 함께 태양을 공전하는 혜성

 

언제올지 모르지만 다음에 꼭 보자구요

 

 

반응형

'우주의 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 2  (0) 2020.12.09
달 1  (0) 2020.12.09
항성 R136a1  (0) 2020.12.08
태양  (4) 2020.12.08
북극과 남극의 오로라  (0) 202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