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으로 본 내의원 품계, 관복

2020. 12. 18. 19:07과거의 이야기

반응형

임관보리법의 시행

 

조선 태조 원년(1392년) 8월에 관리의 채용과 보직의 관한 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극에서 보는 과거는 주로 대과입니다.

대과는 문과와 무과로 나뉘는데요

 

문과는 제약이 있었습니다.

탐관오리의 아들, 재가한 여자의 아들과 손자, 서얼은 문과 응시를 하지 못했습니다.

서얼은 양반의 첩의 자식으로 '서'는 양인 첩의 자손이며 '얼'은 천인 첩의 자손을 말합니다.

 

무과는 서얼과 중인이 주로 응시를 했습니다.

 

중인에게도 관직에 오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요

잡과는 문무를 제외한 지금으로 치면 전문직에 해당하는 분야로써,

잡과는 또다시 역과, 율과, 의과, 음양과로 나뉩니다.


의과

 

요즘 전광렬 버전의 '허준'을 다시 보기로 보고 있는데, 허준이 지냈던 계급에 대해 얘기하고 싶어 졌습니다.

허준은 드라마에서는 서자 출신으로 신분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다가 의원이 되고 의과에 응시해 관직이 생깁니다.

 

의과는 전의감에서 시행하며, 의관 9명을 선발합니다.

허준은 수석으로 합격해 종 8품 봉사의 품계를 받아야 마땅했으나 두 얄미운 판관들의 모략을 당해 참봉이 됩니다.

 

참봉은 조선시대 잡과의 품계 중 최하위 말단으로써 종 9품으로 허준은 혜민서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합니다

 

 

 

녹색관복 (이미지출처:MBC)

 

 

 

이때 선조의 총애를 받는 공빈 김 씨의 동생이 반위와 구안와사를 앓고 있었고 유도지와 어의 양예수가 환자를 돌봤으나

유도지가 계략으로 7일 만에 고친다고 했을 때,

허준은 혜민서에서 구안와사 환자를 4일 만에 고쳤습니다.

실은 3일 만에 낫는다고 했는데 환자가 뭘 자꾸 먹어서 시침 시기를 놓쳐서 4일이었죠.

 

결국 유도지는 병을 고치지 못하게 돼 좌의정이 허준을 추천하여

반위와 구안와사를 완치시켰고 선조는 그 공과 자질을 인정해 종 7품 직장에 명합니다.

 

종 9품 돌려보기를 좀 해서인지 정 9품 부봉사의 품계는 기억이 안 납니다만

 

종 9품 참봉

정 9품 부봉사

종 8품 봉사

위 품계를 건너뛴 종 7품 직장으로 파격 인사가 진행됩니다.

이때까지의 관복은 위의 녹색입니다.

 

이후 황해도 일대의 역병을 매실즙을 이용해 다스린 후 종 6품 주부로의 승진과 호피를 받았지만

과거에 밀수를 하고 대역죄인을 도피시키고 그 대역죄인의 딸과 혼인을 하여 반상의 법도를 어지럽힌 죄를 물어

옥에 갇히고 맙니다.

 

이에 공빈 김 씨가  허준의 사면을 간청을 하던 와중 진심통(심근경색)으로 쓰러지게 되고,

어의도 포기했을 때 선조는 허준을 부릅니다.

허준은 결국 공빈 김 씨의 진심통 증상을 완화시켜 왕명으로 그간의 죄가 사하게 됩니다.

 

이후에 공빈 김 씨는 선조에게 간청하여 허준을 궁의로 명하게 됩니다.

이때까지도 종 7품 직장이었죠.

공빈 김 씨는 선조의 총애가 인빈 김 씨에게 돌아가자 시름시름 앓다가 사망을 하게 되고,

선조는 허준의 죄를 더 이상 묻지 말라고 공표합니다.

허준은 병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어의에게 요청하여 약재 등의 연구를 하게 되고,

연구에 몰두하는 사이 곧바로 선조 24년으로 이어집니다.

 

 

 

청색관복 (이미지출처:MBC)

 

 

 

세월이 흘렀다는 걸 시각화하기 위해 과거시험 동기들도 다 청색 관복으로 나오게 됩니다.

종 7품 직장에서 중간의 품계는 훌쩍 건너뛴 이때 허준의 품계는 종 4품 첨정이었죠

 

종 7품 직장

종 6품 주부

종 5품 판관

종 4품 첨정

 

허준이 첨정일 때 유도지의 품계는 정 3품 당하관으로써 내의정 직급이었고 얄미운 두 판관도 이때는 첨정이었습니다.

아마도 인빈 김 씨의 궁의로 유도지는 파격 승진을 한 이유일 것입니다.

종 6품 주부부터 정 3품 당하관까지는 위의 청색 관복입니다.

 

이때 인빈 김 씨의 소생인 신성군의 창병과 욕창 증상이 있었는데, 유도지는 그냥 종기라고 얼버무리다가

뒷감당을 못할 것 같아 어의에게 청해 허준을 궁의로 들이게 됩니다.

점점 더 증상은 악화돼 손쓸 수 없는 상황에 허준은 병부잡이 오근에게 거머리를 부탁하게 되고

그 거머리가 욕창의 피고름을 빨게 함으로써 병을 고칩니다.

 

선조는 허준의 이 공을 높이 사 정 3품 당상관 어의로 임명하고 직접 교지를 내립니다.

 

 

 

적색관복 (이미지출처:MBC)

 

 

정 3품 당상관부터 정 1품 까지는 적색 관복을 입게 됩니다.

이로써 허준은 면천이 되고, 아들 겸이는 대과에 응시를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임진왜란이 일어납니다.

어의 허준은 이 전란 중에 선조의 안위를 보살피고 종묘사직에 공을 세워 정 1품 보국숭록대부에 올라 대감이 됩니다.

 

정리를 해볼게요


내의원

 

정 1품 도제조 : 정승이나 혹은 정승을 지낸 자가 맡는 직책(실무는 안봄)

정 2품 제조 : 도제조 아래로 도제조와 마찬가지로 실무는 안보는 명예직(고문) 정 2품 이상의 관직에 오른 자는 '대감'

정 3품 당상관 어의 : 실무를 보는 내의원의 최고 직. 정 3 품 당상관부터 적색 관복을 입고 '영감'으로 부르게 됩니다.

정 3품 당하관 정

종 4품 첨정

종 5품 판관

종 6품 주부 : 주부부터 당하관 까지는 청색 관복

종 7품 직장

종 8품 봉사

정 9품 부봉사

종 9품 참봉 : 참봉부터 직장 까지는 녹색 관복

추가로 요즘 사극은 주상전하라고 하는데요
저때의 사극에선 상감마마라고 합니다.
이는 영감, 대감들 중 최고 높아서 상감이라고 한답니다.

반응형